수소

We lead the Best

영일만의 기적으로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끈 포스코처럼 포스코플랜텍은 수소인프라 구축을 선도하여 대한민국을 깨끗하고 안전한 수소국가로 바꿔 나갑니다

포스코플랜텍이
대한민국 수소인프라
구축을 선도합니다

04 H2

수소 밸류체인에서의 포스코플랜텍

포스코플랜텍은 수소의 생산 · 유통 · 활용 전주기에 걸쳐 수소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수소국가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그간 축적된 EPC 역량과 엔지니어링 노하우는 다방면으로 활용됩니다.

  • 부생수소
    부생수소는 제철소, 화학공장, 정유공장의 부생물에서 추출하는 수소생산 방식입니다. 수소생산 가격이 가장 저렴하여 수소생태계 조성에 기초가 되는 수소입니다.
  • 천연가스 개질 수소
    메탄(CH4)이 주성분인 천연가스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천연가스는 공급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도시가스 배관만 갖춰져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수소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 바이오가스 개질 수소
    음식물쓰레기, 축산분뇨 등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물리화학적 방법을 통해 정제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 입니다. 바이오가스는 신재생에너지로써 화석연료에 비해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바가 큽니다.
  •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CCUS : 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제철소 COG 가스, 천연가스, 바이오가스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는 불가피하게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모으고 모아진 이산화탄소를 땅속으로 저장하거나 광물화 과정을 거쳐 잘 활용하게 되면 새로운 자원이 됩니다.
  • 암모니아 추출 수소
    수소는 저장하고 운송하기가 어려운 물질입니다. 하지만 수소를 암모니아에 저장하게 되면 10배나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고 운송도 손쉬워 수소캐리어로써 각광받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암모니아로 수입하게 되면 암모니아(NH3)를 다시 수소로 분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배관망
    배관망을 통해 수소를 운송하는 방법은 가장 경제적이고 안전한 수소 운송 방법입니다.
  • 수소충전소
    수소는 모빌리티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모빌리티에 수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전소가 필요한데 이러한 수소충전소는 고압가스를 다뤄야 함으로 전문시공사가 필요합니다.
  • 거점형 수소생산기지
    수소를 공급하는 곳이 대형화 된다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LNG 개질 수소 생산설비
기존 COG (Coke Oven Gas) 정제를 통해 수소를 공급하던 설비를 LNG 개질을 통해 일 생산량 6Ton(3Ton X 2기)의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설비로 교체하는 사업으로서 수소인프라 구축에 대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수 GS-CALTEX HOU REFORMER PLANT 부생수소 생산설비
Heavy Oil Upgrade Plant에 약 860Ton(430Ton X 2기)의 수소를 생산·공급하기 위한 각종 설비, 상세설계 및 제작을 수행한 Project입니다. 포스코플랜텍은 중·대형 산업용 수소 생산시설 분야의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